韓教室のポッドキャスト
韓教室のポッドキャスト
#313 済州語Ⅰ- 제주어 済州の方言
Loading
/

안녕하세요.

도쿄 다마시에 있는 한국어 교실 한교실입니다.

이제까지 제주를 무대로 촬영된 드라마나 영화는 많았지만 최근처럼 제주어(제주방언)가 대사에 많이 나오는 경우는 별로 없었던 것 같아요. 넷플릭스의 ‘우리들의 블루스’나 애플TV의  ‘파친코’ 를 보면 제주어 대사가 많이 나오지요. 하지만 표준어의 보급으로 제주에서 제주어를 쓰는 사람이 점점 적어져 유네스코에서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라고 지정될 정도인데요.

그럼, 표준어랑 제주어는 뭐가 다를까요? 먼저 억양, 발음이 달라요. 서울말에 비해 억양이 세고 높낮이에 변화가 많아서 싸우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어요. 그리고 서울말에 비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제주 사람들은 경상도나 전라도처럼 다른 지방 사람들에 비해 서울말을 빨리 배우는 편이에요.

또한 문장 제일 끝에 오는 말이 표준말과 많이 다릅니다. 예를 들면 윗사람에게는 ‘가세요?’가 ‘가쑤까?’, ‘가세요’는 ‘가쑤다’가 되고 친구에게 하는 반말 ‘집에 가?’는 ‘집에 가멘?‘, ‘지금 집에 가’는 ‘지금 집에 가멘’ 처럼, 표준어와는 다른 말을 사용하지요.

그리고 단어도 표준어랑 다른 게 많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를 ‘할망, 하르방’, ‘어머니, 아버지’를 ‘어멍, 아방’, 친족이 아니더라도 윗사람에게는 남녀 구별없이 삼춘이라고 부르지요. ‘우리들의 블루스’에도왕삼춘이나 삼춘이라 부르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요, 본토보다 삼춘이라고 부르는 대상이 넓어요. 제주에서는 고구마를 감저라고 하는데요, 왜 표준어의 ‘감자ジャガイモ’와 같은지 그 이유가 궁금했었는데, 오늘에야 알았네요. 일본어로 サツマイモ는 ‘甘藷(かんしょ)‘라고도 하며, 한국에서 제일 먼저 시험적으로 고구마를 재배했던 곳이 제주여서 일본어의 甘藷를 그대로 한국어로 읽어 감저로 불렀기 때문이라는 것을요.

한교실의 팟캐스트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이 있으시면 홈페이지를 통해 보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표현설명

최근처럼 제주어(제주방언)가 대사에 많이 나오는 경우는 별로 없었던 것 같아요   最近のように済州語(済州方言)がセリフに多く出ることはあまりなかったような気がします。「별로 없다」=「あまりない」

제주에서 제주어를 쓰는 사람이 점점 적어져 유네스코에서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라고 지정될 정도인데요   済州で済州語を使う人がだんだん少なくなり、ユネスコでは「消滅危機がとても高い言語」と指定されるほどですが

표준어랑 제주어는 뭐가 다를까요?   標準語と済州語は何が違うでしょうか?

먼저 억양, 발음이 달라요   まず、イントネーション、発音が違います。済州は本土から遠く離れているため、済州には10C~16Cの韓国語がまだ多く残っているため、本土の言葉と違う点が多い

서울말에 비해 억양이 세고 높낮이에 변화가 많아서 싸우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어요   ソウル語に比べ、アクセントが強く、高低さの変化も多くて喧嘩をしているように聞こえる時もあります

문장 제일 끝에 오는 말이 표준말과 많이 다릅니다   文章の一番最後に来る言葉(語尾)が標準語とは多く異なります

단어도 표준어랑 다른 게 많습니다   単語も標準語と違うのが多いです

친족이 아니더라도 윗사람에게는 남녀 구별없이 삼춘이라고 부르지요   親戚ではなくても目上の人には男女を区別しなしで「삼촌(3親等)」と呼びますよ。「윗사람」=「目上の人」⇔「아랫사람」=「目下の人」

왕삼춘이나 삼춘이라 부르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요, 본토보다 삼춘이라고 부르는 대상이 넓어요   「왕王삼춘」や「삼춘」と呼ぶ場面が多く出ますが、本土より「삼춘」と呼ぶ対象(範囲)が広いです。「왕삼춘」は「삼춘(目上の人)」達の中で一番の年配者、あるいは代表者を指す。一番であることを示すために「왕王」をつけている

고구마를 감저라고 하는데요   サツマイモを「감저」と言いますが

일본어의 甘藷를 그대로 한국어로 읽어 감저로 불렀기 때문이라는 것을요   日本語の甘藷(かんしょ)をそのまま韓国語で読み、「감저」로 呼んていたからだというのを。さつまいも「甘藷」を韓国語で読むと「감저」。済州は対馬から持ってきた고구마の試験的な栽培地として真っ先に選ばれた所だったので、済州では「甘藷」を韓国語の読み方法で「감저」と呼ぶようになったと言われている

PAGE TOP